IT/network

server, client 통신

주니- 2020. 5. 11. 08:35

server에서 계정 생성

useradd vm1user

passwd vm1user

 

server에서 설정할 수 있는 것들

/etc/ssh/ssh_config

/etc/ssh/sshd_config

 

client에서 root 접속을 못하게 하기위해서 /etc/ssh/sshd_config 안에 있는 PermitRootLogin no를 설정해줘야한다.

 

22번 포트 - 해킹 당하기 쉬움

 

ssh vm1user@172.28.128.11 - 접속 가능…

ssh -p22 172.28.128.11 vm1user - 접속 불가능… -> 이유 찾아보기

 

 

Client에서 최초 ssh 접속시 인증서가 저장되는 곳은 root 디렉토리의 /home/vagrant/.ssh/known_hosts

 

server에서 열려있는 port 확인

netstat -ant

 

client

nc -v

nmap - 특정 포트만 확인해야 오해를 안받는다.

 

 

SCP

파일 보내기

scp 파일 계정@서버주소:목적경로

Ex) scp test.txt vm1user@172.28.128.11:/home/vm1user

 

디렉토리 보내기

scp -r 디렉토리 계정@서버주소:목적경로

Ex) scp -r /root/temp/abcd/ vm1user@172.28.128.11:/home/vm1user

 

파일 가져오기

scp 계정@서버주소:원본경로 목적파일명

Ex) scp vm1user@172.28.128.11:/home/vm1user/bash-5.0.tar.gz /root/temp/

 

SFTP

sftp -P22 vm1user@172.28.128.11

명령어

get - get 파일명

put - put 파일명

mget - 다수의 파일을 다운로드

mput - 다수의 파일을 업로드

ls - 접속한 sftp의 파일 목록 출력

lls - local의 파일 목록 출력

 

 

LFTP

접속

lftp -u username ftp_url

Ex) lftp -u vm1user 172.28.128.11